로고

전태일의 친구들
로그인 회원가입
  • 활동소식
  • 언론보도
  • 활동소식

    언론보도

    고향 대구에 '전태일 기념관'을..."건립 도와줄 이들을 찾아요"

    페이지 정보

    작성자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Hit 319회 작성일Date 19-09-02 12:02

    본문

    고향 대구에 '전태일 기념관'을..."건립 도와줄 이들을 찾아요"
    열사 50주기인 내년 11월 개관 목표...시민단체, 31일까지 풀꽃갤러리 아소에서 기금마련 전시회
    newsdaybox_top.gif2019년 08월 31일 (토) 02:45:03평화뉴스 한상균 수습기자 btn_sendmail.gifhsg@pn.or.krnewsdaybox_dn.gif
     2000d0ed42ec232194b9eb50d202ef83_1567393265_0282.jpg
    ▲ 대구 '전태일 기념관' 건립을 위한 전시회..전태일 열사 영정사진 / 사진.평화뉴스-전태일재단

    2000d0ed42ec232194b9eb50d202ef83_1567393282_6546.jpg
    ▲ '전태일 기념관' 건립 기금 마련 전시회(2019.8.29.풀꽃갤러리 아소) / 사진.평화뉴스 한상균 수습기자 

    "근로기준법을 준수하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 1970년 11월 13일 서울 평화시장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1948~1970) 열사가 몸을 불살랐다. 그로부터 김용균까지 노동자들의 외침은 계속되고 있다. 

    전태일 열사 고향 대구에 그를 기리는 '전태일 기념관' 건립을 돕기 위한 기금 마련 전시회가 열렸다. 

    사단법인 '전태일의 친구들'은 대구시 수성구 중동 풀꽃갤러리 아소(관장 조덕순)에서 전태일 기념관 건립비를 모으기 위해 '아름다운 사람들'을 주제로 전시회를 연다고 30일 밝혔다. 전시회는 30일부터 31일까지 이틀간 진행된다. 대구에서 활동하는 현대 미술가 김택상, 박철호, 이명미, 임창민, 임현락, 윤종주, 장숙경 작가 등 7명과 도예작가 아키야마 준, 유태근 등 9명의 작품이 전시된다. 작가들은 전태일 기념관 건립을 돕기 위해 자발적으로 자신의 작품들을 전시회에 기증했다. 이 밖에 시민들이 기증한 작품들도 전시된다. 작품 판매 비용은 기념관 건립에 모두 사용될 예정이다.   

    조덕순(70) 관장은 "작가들과 시민들 모두 전 열사 고향 대구에도 기념관을 짓길 희망한다"며 "아름다운 청년의 뜻을 기리고자하는 아름다운 사람들이 많이 찾길 바란다"고 밝혔다. 전시회를 추진한 이정향(56)씨는 "작가들이 전시 취지를 듣고 흔쾌히 작품을 기증했다"면서 "열사 고향인 대구에 그의 뜻을 기리려는 취지를 공감해주신 덕분이다. 건립을 도울 아름다운 이가 더 늘어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전태일의 친구들'은 열사가 살았던 대구시 중구 남산동 2178-1번지 고향집을 매입해 '전태일 기념관' 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9월 매입 계약을 맺고 12월까지 자금 5억원을 마련해 집을 살 예정이다. 이어 전 열사 50주기인 2020년 11월쯤 기념관 개관을 목표로 하고 있다. 8월 현재까지 모인 기금은 1억원대다. 때문에 '전태일의 친구들'은 전시회를 비롯한 모금운동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김채원 '전태일의 친구들' 상임이사는 "작가들의 자발적 전시회를 환영한다"며 "참여한 작가들과 시민들에게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전시회를 기점으로 많은 시민들이 연락을 주고 있다"면서 "앞으로 다양한 기금 행사를 열어 전태일 기념관을 고향에도 세우길 희망한다"고 했다.
     
    전 열사는 1948년 8월 26일 대구 중구 남산동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사업 실패로 부산으로 떠났다가 1962년 다시 대구로 돌아와 '청옥고등공민학교(현 명덕초등학교)'를 다녔다. 1964년 서울로 떠난 어머니를 따라가기까지 2년간 대구에서 보냈다.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으로 일기에 적기도 했다.   

    한편, 서울시는 올해 4월 30일 전 열사의 분신 장소인 평화시장 근처 청계천 수표교 인근에 6층 규모의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 기념관'을 개관했다. 만약 대구에도 기념관이 세워지면 전국 두 번째다.

    2000d0ed42ec232194b9eb50d202ef83_1567393317_01.jpg
    ▲ '전태일의 친구들'연 전시회 '아름다운 사람들'이다(2019.8.29) / 사진.평화뉴스 한상균 수습기자 


    전태일 열사 생애

    1948.08.26. 대구시 중구 동산동(현 남산동) 출생
    1950.03 아버지의 사업 실패로 가족들 대구를 떠나 부산에 정착
    그 곳에서 다시 소규모 양복 제조업을 시작
    1954.08 다시 맞은 아버지의 사업 부도로 온 가족은 서울로 무작정 상경하여 천막촌 전전
    1956.03 ‘남대문초등공민학교’에 2학년으로 입학하여 처음으로 학교생활 시작하였으나 곧 중단
    1960.03 3년 만에 ‘남대문초등학교’ 4학년 편입 시험에 합격하였으나
    가난한 가정환경으로 곧 중퇴 후 가족 생계를 위해 신문팔이, 빈병줍기, 성냥팔이 생활
    1961.03 서울 ‘동광초등공민학교’ 6학년에 편입학하였지만
    6개월만에 중단 후 위탁소의 미수금과 공부에 대한 열망으로 가출
    1962.01 온 가족이대구로 돌아가 큰 댁에서 더부살이 생활하던 중 가출에서 돌아와 아버지 봉제일 도움
    1963.03 대구 ‘복음 고등공민학교’ 입학 2개월만에 ‘청옥고등공민학교’ 야간학교로 전학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시절을 보냈지만 아버지 일을 돕기 위해 학교 중퇴
    1964.02 서울로 식모살이를 떠난 어머니를 찾아 5살의 막내 순덕이만 데리고 무작정 상경하여 신문팔이, 구두닦이 생활
    1964.03 어머니를 못찾게 되자 순덕이를 서대문 적십자병원 앞에 순덕이를 버렸다가 되찾아왔지만
    결국 순덕이를 시청 사회과에 맡겨 보육원으로 보냄
    1965.08 서울에서 뿔뿔이 흩어져 살던 가족은 우연히 다시 모이게 되고,
    평화시장 삼일사에 견습공(시다)으로 취직하여 첫 임금노동자 생활을 시작
    1966.02 남상사를 거쳐 통일사에 미싱사로 취직, 참혹한 노동 현실을 개선하고자 재단사가 되기로 결심
    1966.10 재단보조로 한미사에 취직하여 재단사로 승진, 업주들의 횡포와 착취구조를 알게 되고
    이에 저항하기 위해 체계적인 근거를 마련하는 한편 차비를 털어
    배를 곯는 어린 여공들에게 풀빵을 사주는 등 현실 고통을 해결하고자 노력
    1967.06 고입 검정고시를 준비하던 중 아버지를 통해 근로기준법을 알게 되고
    자신의 출세와 학구열보다도 어린 여공의 생명과 건강을 지키는 일이
    시급하다고 판단하여 그토록 열망하던 공부를 과감히 포기
    1969.06 재단사들의 모임인 바보회를 조직하여 회장을 맡고,
    회원들과 노동법을 공부하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시청과 노동청에 진정하였으나 좌절
    1969.09 활동자금 부족과 성과 미흡으로 바보회 활동이 정지되고,
    공장에서 해고되자 건축 막노동을 하면서 앞날을 도모.
    ‘친구여. 나를 아는 모든 나여. 부탁이 있네’라는 소설형식의 글 작성
    1969.11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내는 진정서 작성
    1970.01 모범업체 설립 계획서 작성과 설립자금을 위해
    중앙일보 사회면 '주사위'란에 안구 기증자를 찾는다는 편지 발송
    1970.04 임마누엘수도원 건축공사장에서 막노동하며 죽음을 각오한 번민과 결단
    ‘사랑하는 친우여. 그대들이 아는, 그대들의 전태일의 일부인 나. 힘에 겨워 힘에 겨워
    굴리다 다 못 굴린 그리고 또 굴려야 할 덩이를 나의 나인 그대들에게 맡긴 채 잠시 다니러 간다네’ 라는 편지글 작성
    1970.08 ‘이 결단을 두고 얼마나 오랜 시간을 망설이고 괴로워했던가? 나는 돌아가야 한다.
    내 이상의 전부인 평화시장의 어린 동심 곁으로’라는 글 작성
    1970.09 임마누엘수도원 하산과 삼동친목회 조직. 실태조사서 작성하여 동양방송 고발프로, 시청, 노동청 진정 등 투쟁의 시작
    1970.10 경향신문 석간 사회면에 평화시장 실태 ‘골방서 하루 16시간 노동’ 보도와 사장 면담투쟁, 노동청 진정과 시위 투쟁
    1970.11.13. 근로기준법 화형식을 치르기로 한 날 집회, 시위가 경찰에 의해 막히자 ‘근로기준법을 지켜라’, ‘우리는 기계가 아니다’를 외치며 분신 항거.
    메디칼센터(현, 국립의료원) 응급실로 이송하여 응급치료를 받았으나 14일 오전 1시 30분 임종.
    어머니와 친구를 향한 유언
    “엄마, 내가 못다 이룬 소원들을 엄마가 제 대신 이루어 주세요.”
    “엄마는 이제 그 사람들을 위해서 내가 뚫어 놓은 작은 바늘구멍을 자꾸 넓혀서 그 벽을 허물어야 합니다.”
    “친구들아.절대 내 죽음을 헛되이 하지 말아줘라.”
    1970.11.18. 마석 모란공원에 안장

    자료 출처 : 아름다운청년 전태일기념관 / 서울 종로구 청계천로 1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